파일 | 설명 |
/proc/self | -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정보 확인 - 작성한 프로그램의 pid를 경우 /proc/self로 접근 |
/proc/<pid>/maps | - maps 파일은 프로세스의 메모리 주소공간의 정보를 제공 |
/proc/<pid>/cmdline | - cmdline 파일은 프로세스의 전체 argv를 포함 |
/proc/<pid>/environ | - 프로세스의 현재 environment를 확인 - 프로세스의 스택 메모리와 바로 연결되어 있 - 프로세스의 현재 환경변수 설정값을 알아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 - API KEY의 경우 보통 해당 위치에 저장됨 |
/proc/<pid>/mem | - 프로세스의 매핑된 메모리 정보를 보여줌 |
/proc/<pid/fd | - 프로세스가 현재 가지고 있는 File descriptor를 가리키는 심볼릭 링크가 들어있음 - 파일의 이름은 File descriptor 번호 stdin은 0, stdout은 1, stderr는 2란 이름의 파일 |
○ proc 파일시스템은 /proc에 마운트되어 있음
○ kernel data 구조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제공 ○ proc 파일시스템의 파일들은 READ-ONLY
○ 하지만 몇몇의 파일들은 커널 변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WRITE 가능
proc 실습 : https://dreamhack.io/wargame/challenges/417
File Vulnerability Advanced for linux
Description Exercise: File Vulnerability Advanced for Linux에서 실습하는 문제입니다. 문제 수정 내역 2023.07.28 Dockerfile 수정
dreamhack.io
'기반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s Server 2008 R2 초기 설정 (0) | 2024.11.28 |
---|---|
로컬에 Wordpress 설치 (5) | 2024.10.19 |
pdb 도구를 이용한 python 디버깅 (0) | 2024.10.18 |
Windows Defender Off (0) | 2024.10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