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그캣(Logcat) 메시지 유형 및 설명
○ 로그는 실행 중에 발생하는 프로그램의 이벤트, 통신 기록 등을 나타냄
○ 로그를 사용하여 장애 원인 분석이나,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유지보수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 됨
○ 취약한 로깅 메커니즘은 로그 기록에 노출되면 안되는 중요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
○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logcat을 사용해 진단
메시지 유형 | 설명 |
V | ● Verbos (중요하지 않은 정보) |
D | ● Debug ( 디버그 정보 ) |
I | ● Information ( 일반 정보 ) |
W | ● Warning ( 경고 정보 ) |
E | ● Error ( 에러 정보 ) |
F | ● Fatal ( 중요한 정보 ) |
S | ● Silent ( 가장 높은 우선 순위 정보 ) |
옵션 | 설명 |
-s | ● 모든 태그의 우선 순위를 'silent'로 설정하는 필터 표현식 '*:S'와 동일 |
-c | ● 로그 전체를 삭제 |
-d | ● 로그를 스크린에 덤프 |
-f 파일 이름 | ● 지정한 파일 이름에 로그를 저장 |
-g | ● 로그 버퍼의 사이즈를 가져오고 종료 |
-v 포멧 | ● 로그 메시지의 포멧을 설정. 기본은 brief 포멧 |
2. 로그캣(Logcat)을 이용한 정보 확인
○ nox_adb.exe shell
● ps | grep insecurebankv2 : pid 확인
● logcat | grep 103
3. 대응 방안
○ 개발에 사용한 로그 코드를 삭제
○ 중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로그 코드 삭제
4. 실습(1) - 사용자 로그인, 계좌 이체, 비밀번호 변경 로그 노출
5. 실습(2) - Insecure Logging(DIVA)
'프로젝트 > AOS 모바일 앱 모의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취약한 인증 매커니즘 액티비티 노출 취약점 (0) | 2024.12.24 |
---|---|
5. 통신 과정 취약점 진단 (1) | 2024.12.22 |
3. 앱 내부/외부 저장소 취약점 진단 (0) | 2024.12.17 |
2. 하드 코딩 된 중요 정보 (1) | 2024.12.11 |
1. InsecureBankv2 앱 소개 및 설치(가상 은행 앱) (2) | 2024.12.10 |